오늘 방송 중 나온 나나님 엠비티아 리빙포인트! 흥미글

조회수 73

이건 정보겟용도 아니고 생방송 리뷰 후기라기도 그래서 그냥 적는 글 1. 나나님이 궁금해하셨던 엠비티아이 뒤에 -T가 무엇인지. 이건 자기확신형 A와 신중형T인데 외국에선 신중형이라고 표현하는데 한국에선 불안형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확신이 없고 남의 생각을 신경쓰고 약간 이리저리 하는? 다만 그만큼 남들의 생각을 신경써주기에 신중형이란 표현을 써요. 2. 나나님의 F와 T의 비중 51대49 사람들이 말할때 결과만 보고 이 비중을 자세히 보지않는데 이 비중이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이렇게 절반인 경우는 intp와 infp가 결국 반반이라고 보면 돼요, 어디가서 앰비티아이 물어보면 그냥 인프피와 인팁 사이의 어딘가 라고 답하셔도 됩니다. 기분 센치해지시면 intp도 나오실듯 약간 사회화가 어느정도 되었는지랑 최근 기분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쉬운 부분이고 보통 상대방이 무엇을 말했을때 해결책을 주고 나 스스로도 해결책을 듣는게 좋다면 T, 남이 잘 들어주고 공감해주고 나도 그런게 듣고싶다면 F의 성향이 강하다고 합니다. 참고로 infp은 소위 인터넷 인간으로 불리며 커뮤니티에서 오순도순 열활하는 사람들 중 가장 많은 스타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인싸 사이에선 아싸, 아싸들 사이에선 인싸 (Enfp도 비슷함) 유튜버들 (정보 세분화 유튭보단 일상 취미 등)이 많기도 한 유형. enfp와 infp 목적 보다도 취미로 유튭을 즐겨한다고 합니다. 3. 엠비티아이 비율은 전세계적 통계이기 때문에 한국 비율과는 차이가 큽니다. 특히 e와 i의 비율이 반대이고 n도 다른 나라에 비해 많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외국이 Es로 시작하는 타입들 비중이 14프로 in으로 시작하는게 4프로 이렇다면 한국은 거의 정반대인 in 11프로 이런 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신기한건 남녀비율에서도 차이가나는데 남성분들 유형은 t비율이 f보다 대체로 조금씩 더 많고 여자분들은 f가 더 많이 나왔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실험 통계로 나왔으며 그렇다고 남성 여성 성격 차이다가 아니라 정말 이런식의 차이는 조금 존재한다 정도예요. T인 여자분들도 많고 F인 남자분들도 많아요. 이는 사회적 환경과 시선의 차이때문도 있다고 합니다. 위의 내용들 참고사진 있었는데 폰바꾸느라 흑흑 4. mbti 유형 특징을 대충 몇가지 적어보자면 E 대외적 대인관계에서 에너지를 얻는 사람. I 혼자만의 시간으로 에너지를 얻는 사람 S 현실적?이며 대중적인 시선이 많음. N 공상적, 예술가형에 많으며 특이하게 남다르게 꽂히는게 많으면 N이라는 말도 있음 ㅋㅋㅋㅋ약간 홍대병 스타일, 깊이 파는 것 덕질 그런 거 좋아함. T 문제에 대해 사람보다 원인과 결과 문제 해결 등에 치중(감정보단 이성) 에프랑 티가 싸우면 에프가 운다는 말이 있음. F 문제도 문제지만 사람에 대한 것에 집중을 함. 사회화가 잘 되면 T들도 F가 가끔 나온다고 합니다. J 계획적. P 즉흥적 더이상 덧붙일 말이 없음. 보이는 대로, 참고로 p가 생각하는 계획은 j가 보면 그냥 메모장 낙서 아니냐고 할 정도로 계획의 세분화가 차이가 있다고해요. 몰론 엠비티아이는 모두가 이렇다가 아니라 이러이러한 부분도 있구나 알고 흥미로 봐주세요! 사람이란 건 결국 입체적이고 상황에 따라 다르고 변화하니까요. 전 엠비티아이 대화하면서 좋았던게 사람을 유형으로 나누는게 아니라 넌 이런 상황에서 어떨 거 같아? 이럴 때 이러면 좋아? 싫어? 대화하며 서로 더 알아가고 와 정말 사람들은 같은 상황에서도 이렇게 다르구나. 내가 당연히 이러지않나? 생각햌ㅅ던게 그렇지 않을 수도 있구나 알아가서 유익했던 거 같아요.
2좋아요1
  1. 글쓰시느라 오래걸렸겠네용ㄷㄷ

  2. ㅋㅋㅋㅋ뭔가 딱 나같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