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인가 타살인가

조회수 60

1994년 3월 23일, 미국 샌디애고에서 로널드 오퍼스라는 남자가 10층 빌딩 아래로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기이하게도 그가 발견된 곳은 1층 바닥이 아닌 8층 안전망에 걸쳐진 상태였다.


부검 결과, 직접적인 사인은 머리를 관통한 라이플 총알이었다.


즉, 라이플 총알이 그의 두개골을 관통하여 사망한 상태로 떨어진 것이다.


자살을 가장한 살인이 아닐까 의심한 경찰은 주변 수색에 나섰지만, 그가 투신한 지점에는 아무런 핏자국도 발견할 수 없었고, 오히려 그의 자필로 작성된 유서만 발견되었다. 


머리에 난 총상은 대체 어떻게 일어난 것일까?


그가 자살하기 전, 라이플 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쏘고 떨어졌다면 그 주변에 핏자국이나 흔적, 혹은 라이플 총이 발견되어야 하는데, 그런 것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사건을 수사하며 주변 탐색을 넓혀가던 경찰은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그가 10층에서 떨어지며 9층 지점을 통과하는 순간, 9층에서 날아온 총알에 머리를 맞은 것이다.


9층에는 노부부가 세들어 살고 있었는데, 그 부부는 심한 말다툼을 하던 중 감정이 격해진 남편이 총을 들고와 부인에게 총을 쐈다.


하지만 총알은 부인을 빗겨나가 우연히 떨어지고 있던 오퍼스가 맞은 것이다. 


정말 기가막힌 우연이 아닌가.


이를 보며 누군가는 생각할 것이다. 어차피 오퍼스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고 했고, 총에 먼저 맞아 사망했다고 크게 달라지는 건 없는 것이 아니냐고 말이다. 


하지만 경찰의 생각은 달랐다.


8층에 안전망이 있어서 만약 오퍼스가 머리에 총알을 맞지 않았을 경우 그는 안전망에 걸쳐져서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경찰은 판단했다. 


즉, 자살 미수로 살 수 있었으나 총에 맞아 사망했으니 9층 노부부의 남편이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되는 것이다.


만약 남편이 총을 쏴서 부인을 맞췄을 경우 일급 살인에 해당되지만, 부인을 빗나가 그 옆의 다른 사람이 맞았을 경우 이급살인, 즉 과실치사가 적용된다.


그래서 이 사건의 경우 남편은 이급살인으로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노부부는 평소 총에 총알을 넣지 않았으며, 어떻게 그 총이 장전되어 있는지 모른다고 주장했다.


노부부의 의견에 따르면, 그들은 부부싸움을 할 때마다 항상 남편이 빈 총을 들고 나와 부인에게 쏘는 시늉을 하면서 위협하는 습관이 있다고 했다.


그래서 본인들은 절대로 그 총에 총알을 장전한 적이 없었고, 총알이 장전된 상태인줄 모르고 총을 쐈으니 살해의도가 전혀 없으며, 오퍼스가 우연히 총알을 맞은거니 사고사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사건의 핵심인 누가 그 총에 총알을 장전했는지를 풀어야한다.




경찰은 수사 끝에 총알을 장전한 범인으로 노부부의 아들 중 한 명을 지목했다.


사건 6주 전에 그 사람이 총알을 장전하는 모습을 본 목격자를 찾은 것이다.


범인으로 지목된 아들의 동기는 이러했다.


직장에서 해고된 아들은 어머니로부터 금전적인 도움을 요청했으나 외면당했다. 


분노한 아들은 아버지가 평소에 부부싸움을 할 때마다 빈 총을 어머니께 겨누며 쏘는 습관을 떠올렸고, 어머니를 살해하기 위해 몰래 총알을 넣어둔 것이다.


하지만 총알을 장전한지 6주가 지나도록 자신의 부모가 부부싸움을 하지 않았고, 어머니에게 복수할 가능성이 점점 사라진 것이다.


결국 절망한 아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고 10층에 올라간 것이다.




그렇다. 이 사건의 범인은 바로 로널드 오퍼스였던 것이다.


오퍼스는 자신의 어머니를 살해하려고 총알을 장전했으나, 계획대로 되지않자 10층에서 투신을 하였고, 9층을 지나는 순간 아버지가 쏜 총에 맞아 사망한 것이다. 


이렇게 기막힌 우연이 있을까?


결국 사건은 오퍼스의 자살사로 종결되었다고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 이야기는 가장 어이없고 복잡한 자살 사건으로도 유명한 이야기로 실화인지 가상의 이야기인지 의견이 갈릴 정도로 흥미로운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놀랍게도 가상의 내용이며 실화는 아니다.


이 이야기를 만들어낸 사람은 1987년 당시 미국 법의학 학술대회의 회장인 '하퍼 밀스'로, 학회의 만찬에서 한 이야기라고 한다.


밀스는 살인 사건에서 고려할 법적 요소를 사람들이 흥미를 가지고 생각하도록 지어낸 이야기라고 밝혔다.


여담으로 밀스는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실화로 생각한다는 얘기를 듣고 놀랐었다고 한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84%90%EB%93%9C_%EC%98%A4%ED%8D%BC%EC%8A%A4 

2좋아요2
  1. 진짜 가상의 이야기란거 안 알려주면 실화라고 믿을듯

  2. 와...복잡하게 잘썼다